본문 바로가기

알아두면 유용합니다36

구직을 포기하는 젊은이들? 지금 우리나라의 청년실업자는 1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돼 있습니다. 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되지 않은 취업준비생 41만3000명을 포함하면 청년층의 체감실업률은 15.4%까지 높아집니다. 특히 고용통계조사에서 “그냥 쉬겠다”고 답변, 사실상 구직포기로 분류되는 청년층 25만명을 합치면 청년 실업률은 19.5%나 된다는 분석입니다. 이를 반영하는 사례들을 접하면 한국의 미래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. 얼마 전 대구직할시가 환경미화원 17명을 뽑는데 412명이 몰린 적이 있습니다. 지원자 중에는 69명이 여자였고 20~30대가 전체의 45%를 차지했다고 합니다. 대졸이상 학력을 가진 자도 35%(144명)나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. 심각한 청년취업의 현장을 잘 반영해주고 있습니다. 또 경찰청이 순경 1.. 2008. 10. 14.
제2의 인생준비 23일 온라인채용업체 잡코리아가 남녀 직장인 530명을 대상으로 '제2의 인생 준비'에 대해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91.5%가 제2의 인생 설계 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. 이들이 준비하는 분야(복수응답)는 54.4%가 외국어와 직무 분야에서 자기개발을 한다고 답했으며, 재테크(53%), 취미와 특기개발(32.4%), 이직(20.6%), 창업(13.8%) 순이었다.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 커리어 컨설팅을 하다 보면 우리는 제2의 인생, 혹은 제2막이라고 부르는 것들과의 조우를 하게 된다. 늘 .. 2008. 9. 24.
취업의 중심축 취업활동의 중심은 어디인가? ‘2년째 9급 공무원시험을 준비해 온 정모(25·여) 씨는 요즘 밤잠을 설치며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. 안정적인 일자리를 원해 공무원시험을 준비해 왔지만 중앙정부에 이어 지방정부도 인원을 대폭 줄인다고 하니 합격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다. 정 씨는 “지금이라도 민간 기업체 취직 공부를 해야 할 것 같은데 사기업이라고 만만하게 들어갈 수 있겠느냐”며 “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”고 한숨을 지었다.’ 최근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친구들의 상황을 잘 표현한 신문의 한 인터뷰 내용이다. 통계청의 07년 7월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15~29세의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532만 3000명 중 취업준비생은 약53만명이고, 이 중에서 공무원 시험, 속칭 공시(公試)를.. 2008. 5. 17.
공무원 1만명 감축의 의미 지방 공무원 1만명 감축의 의미 ‘행정안전부는 1일, “전체 지방자치단체 일반직 공무원 총액인건비의 5%를 절감(자치단체별로 최대 10%까지), 일반직 지방공무원 중 약 1만 명 이상을 올해 안에 감축토록 했다”라고 밝혔다. 또한 “일반직 공무원 1만 여 명 외에 무기계약근로자도 동일비율로 감축”하도록 해 실제 감축되는 인원은 1만여 명을 훨씬 웃돌 것으로 보인다.’ 최근 발표된 이 기사가 시사하는 바는 크다. 우리나라 공무원의 노무현 정부를 통한 최근 증가추세는 폭발적이었다. 국가공무원 증가 추이는 06년 말 95만 7,208명으로 02년 말 DJ 정부시절 88만 9,993명과 비교해 6만 7,215명(7.56%)이나 늘어났고, 올해도 1만 2,317명을 증원하는 것을 비롯 2011년 까지 향후 5년간.. 2008. 5. 12.